단 첫 번째에 한하여 부기하며, 필요에 따라 반복 가능하다.
2)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A4 용지에 작성해야 하며, 본문의 장ㆍ절ㆍ항 등의 번호는 I, 1, 1), (1), ①의 순으로 매기며, 표와 그림은 <표 1>, <그림 1>과 같은 형식으로 일련번호를 붙여 표의 제목은상단에, 그림의 제목은 하단에 표기한다.
ㆍ단행본, 전집, 학술지 : 『 』
ㆍ신문과 잡지 : 《 》
ㆍ개별 논문, 학위논문, 신문과 잡지의 기사 :「 」
ㆍ단행본, 전집, 학술지, 신문과 잡지: 이탤릭체
ㆍ개별 논문, 학위논문, 신문과 잡지의 기사 : “”
ㆍ강조 부호 : ‘’
ㆍ인용 부호 : “”
ㆍ이경원, 『대순진리회 교리론』 (서울: 문사철, 2013), p.25.
ㆍMircea Eliade, The Quest: History and Meaning in Religion (Chicago: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, 1969), p.23.
ㆍ요아힘 바하, 『비교종교학』, 김종서 옮김 (서울: 민음사, 1988), pp.21-34.
ㆍG. van der Leeuw, Religion in Essence and Manifestation, Vol.2, trans. J. E. Turner (New York: Harper & Row, 1963),
pp.189-191.
ㆍ고남식,「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」 (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, 2003), pp.32-52. ㆍGray Alan Anderson, "Sacrifices and Offerings in Ancient Esrael: Studies in Their Social and Political Importance" (Ph.D.Dissertation, Harvard University, 1985), pp.1-3.
4) 정기 간행물의 논문 및 기사
ㆍ박상규,「대순진리회의 조직과 그 특성」, 『종교연구』 70 (2013), p.255.
ㆍ박용철,「대원사 공부의 이해에 나타난 종통의 천부성에 대한 고찰」, 『대순회보』 68 (2007), pp.99-106.
ㆍDonald Wiebe, “Disciplinary Axiom, Boundary Conditions and the Academic Study of Religion”, Religion 20:1 (1990), p.23.
ㆍ류성민,「종교다원주의와 종교윤리」,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엮음, 『종교다원주의와 종교윤리』 (서울: 집문당, 1994), pp.113-115. ㆍRobert Wuthnow, “The Cultural Context of Contemporary Religious Movement,” in Thomas Robbins and William C. Shepherd, eds., Cults, Culture and the Law (Chico, California: Scholar Press, 1985), p.23.
6) 전집ㆍ한국학문헌연구소 편, 『한국개화기교과서총서』 18 (서울: 아세아문화사, 1978), p.227.
7) 신문ㆍ윤석인,「종교와 정치」, 《한겨레신문》 1999. 3. 1.
8) 사료ㆍ『朝鮮王朝實錄』, 世祖 1年, 12月 3日.
9) 동일한 문헌 인용 표기ㆍ바로 앞의 문헌과 동일한 경우 같은 책, pp.15-19. 같은 글, p.38. (논문인 경우)
ㆍ같은 인용의 반복 강돈구, 앞의 글, pp.23-25. (같은 저자의 글이 하나만 인용된 경우) 강돈구, 『한국 근대 종교민족주의 연구』, pp.23-25. (같은 저자의 논저가 둘 이상 인용되고 있는 경우)
대순진리회 교무부, 『전경』, 여주: 대순진리회 출판부, 2010.
고남식,「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」,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, 2003.
요아힘 바하, 『비교종교학』, 김종서 옮김, 서울: 민음사, 1988.
이경원, 『대순진리회 교리론』, 서울: 문사철, 2013.
박상규,「대순진리회의 조직과 그 특성」, 『종교연구』 70, 2013.
윤석인,「종교와 정치」,《한겨레신문》1999. 3. 1.
Donald Wiebe, “Disciplinary Axiom, Boundary Conditions and the Academic Study of Religion,” Religion 20(1), Spring 1990.
Gray Alan Anderson, “Sacrifices and Offerings in Ancient Israel: Studies in Their Social and Political Importance”, Ph. D. Dissertation, Harvard University, 1985.
Mircea Eliade, The Quest: History and Meaning in Religion, Chicago: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, 1969.
박용철,「해원시대를 전제하는 인존시대에 대한 이해」, 『대순사상논총』 27, 2016.
https://doi.org/10.25050/jdaos.2016.27.0.135
차선근,「중국 초기 민간도교와 대순진리회의 종교윤리 비교연구」, 『종교연구』 75-4, 2015.
http://uci.or.kr/G704-000716.2015.75.4.003